[두보(杜甫)의 시] 1. 春望(춘망) / 좋은 시 모음
이백과 함께 중국 당나라 최고의 시인으로 꼽히는 두보의 시입니다.
756년에 일어난 안사의 난으로 황폐화된 도성을 바라보며 지은 오언율시.
春望(춘망)
- 杜甫 〔두보〕 -
国破山河在,城春草木深。(국파산하재, 성춘초목심)
guó pò shān hé zài ,chéng chūn cǎo mù shēn 。
나라가 무너졌으나 산과 강은 여전하여, 봄을 맞은 도성에는 초목이 무성하구나.
感时花溅泪,恨别鸟惊心。(감시화천루, 한별조경심)
gǎn shí huā jiàn lèi ,hèn bié niǎo jīng xīn 。
슬픔에 잠겨 꽃을 봐도 눈물이 흐르고, 한스러운 이별에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에도 놀란다.
烽火连三月,家书抵万金。(봉화연삼월, 가서지만금)
fēng huǒ lián sān yuè ,jiā shū dǐ wàn jīn 。
(전쟁의) 봉화는 3개월째 피어있고, 가족의 소식은 만금보다 귀하다네.
白头搔更短,浑欲不胜簪。(백두소갱단, 혼욕부성잠)
bái tóu sāo gèng duǎn ,hún yù bú shèng zān 。
(시름에) 자꾸 긁어 흰머리가 더 짧아지니, 비녀조차 꽂을 수 없게 되었구나.
1. 시문 해석
国都遭侵但山河依旧,长安城里的杂草和树木茂盛地疯长。
感于战败的时局,看到花开而潸然泪下,内心惆怅怨恨,听到鸟鸣而心惊胆战。
连绵的战火已经延续了一个春天,家书难得,一封抵得上万两黄金。
愁绪缠绕,搔头思考,白发越搔越短,简直要不能插簪了。
나라가 침공당했지만, 산과 강은 여전하여 장안성에는 잡초와 나무들이 무성하게 자랐다.
패전의 시국으로 슬픔에 빠져, 꽃이 피어 있는 것만 봐도 눈물이 흐르고, 마음이 서글프고 원망스러워 새소리를 들어도 가슴이 섬뜩하다.
전쟁의 불길은 계속되고 있어, 가족의 편지를 받기가 어려워 황금 만 냥만큼이나 귀하다.
시름시름 앓으며 머리를 긁으니, 흰머리가 더 짧아져 비녀조차 꽂을 수 없게 되었다.
2. 주석
- 国(국):국가 도성, 즉 장안(长安)을 가리킨다.
- 破(파):함락되다.
- 城(성):장안성(=长安城)
- 草木深(초목심):초목이 무성하다, 사람 혹은 사람이 사는 민가가 적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 感时(감시):나라의 어려운 시국으로 인한 슬픔, 상심.
- 溅泪(천루):눈물을 흘리다(=流泪).
- 恨别(한별):이별을 슬퍼하다(=怅恨离别)
- 烽火(봉화):옛날 변방에서 비상사태를 경고하는 불로, 여기서는 안사의 난(安史之乱)으로 인한 전쟁의 불길을 의미한다.
- 恨(한) : 옛날에는 낙담, 상심을 나타내었으나, 오늘날에는 원한의 의미로 쓰인다.
3. 창작 배경
이 시는 중국 당나라 숙종 지덕 2년(757년) 3월에 지어진 시이다.
756년 6월에 안사(安史) 반군은 장안으로 쳐들어왔고, 민가에 불을 지르고 성을 불태워 번화했던 도성은 폐허로 변하였다. 같은 해 8월에 두보는 북에서 영무(灵武)로 가다가 반란군에 붙잡혀 포로가 되었고, 함락된 장안(长安)으로 압송되었다.
이 시는 두보가 장안으로 압송된 지 반년이 지난 때에 지은 것으로, 늦은 봄날 상심에 젖어 이 오언율시를 창작하였다.
4. 두보(杜甫 ; 712-770)
[자 - 자미(子美) / 호 - 소릉(少陵)]
중국 당나라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렸으며, 그의 시는 시로 표현된 역사라는 뜻으로 시사(詩史)라 불린다.
두보는 당대(唐代) 위대한 현실주의 시인으로 나라와 백성을 걱정하였다.
그의 시는 약 1400여 수가 전해지며, 시예(诗艺)가 뛰어나 중국 고전시 중에서도 추앙을 받으며 그 영향력도 매우 깊다.
두보와 이백을 합해 "이두(李杜)"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료 : 바이두 외,]
'중국문학 (원문&번역) > [시인] 두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보(杜甫)의 시] 6. 闻官军收河南河北(문관군수하남하북) / 좋은 시 모음 (0) | 2022.04.15 |
---|---|
[두보(杜甫)의 시] 5. 绝句(절구) / 좋은 시 모음 (0) | 2022.04.15 |
[두보(杜甫)의 시] 4. 望岳(망악) / 좋은 시 모음 (0) | 2022.04.14 |
[두보(杜甫)의 시] 3. 春夜喜雨(춘야희우) / 좋은 시 모음 (0) | 2022.04.14 |
[두보(杜甫)의 시] 2. 登高(등고) / 좋은 시 모음 (0) | 2022.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