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문학 (원문&번역)/[시인] 두보

[두보(杜甫)의 시] 18. 登楼(등루) / 좋은 시 모음

by mithras 2022. 4. 18.
반응형

 

 

 

 

 

 

 

 

 

 

 

 

[두보(杜甫)의 시] 18. 登楼(등루) / 좋은 시 모음

 

 

 

[두보(杜甫)의 시] 18. 登楼(등루) / 좋은 시 모음

 

 

 

登楼

(dēng lóu / 등루)

 

- 杜甫 〔두보〕 -

 

 


花近高楼伤客心,万方多难此登临。

huā jìn gāo lóu shāng kè xīn, wàn fāng duō nán cǐ dēng lín。

꽃이 가까운 높은 누각 나그네의 마음을 아프게 하니, 만방에 어려움이 많아 이곳에 올라 내려다보오.


锦江春色来天地,玉垒浮云变古今。

jǐn jiāng chūn sè lái tiān dì, yù lěi fú yún biàn gǔ jīn。

금강의 봄빛은 천지에서 왔고, 옥루산의 뜬 구름은 여전히 변하는구나.


北极朝廷终不改,西山寇盗莫相侵。

běi jí cháo tíng zhōng bú gǎi, xī shān kòu dào mò xiàng qīn。

조정은 (하늘의) 북극성처럼 결코 변할 수 없으니, 서산의 도적떼 침략하지 말아야 하거늘. 


可怜后主还祠庙,日暮聊为《梁甫吟》。

kě lián hòu zhǔ hái cí miào, rì mù liáo wéi 《liáng fǔ yín 》。

나중 주인(유선)은 아직도 사당에 있어 한탄이 나오니, 해 저물면 양보음(제갈공명의 글)이나 읊어야지.

 

 

 

 

 

 

 

 

 

1. 시문 해석

 

登楼望春近看繁花游子越发伤心;万方多难愁思满腹我来此处登临。
锦江的春色从天地边际迎面扑来;从古到今玉垒山的浮云变幻莫测。
大唐的朝廷真像北极星不可动摇;吐蕃夷狄莫再前来骚扰徒劳入侵。
可叹刘后主那么昏庸还立庙祠祀;日暮时分我要学孔明聊作梁父吟。

 

 

봄날에 누각에 올라 만발한 꽃을 가까이서 볼수록 마음이 아프구나.

만방에 어려움과 근심이 많은데 나는 여기 올라 내려다본다. 

 

금강의 봄색은 천지 경계에서 만나 진동하네.

옥루산(玉垒山)의 뜬 구름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게 변했구나.

 

대당(大唐)의 조정은 북극성처럼 움직일 수 없다네.

토번 오랑캐 다시 침입해 소란 피우지 말아야 하거늘. 

 

유 씨 나중 주인이 어리석게도 사당에서 기도나 하고 있으니 한탄이 나온다.

해 질 녘에 나는 제갈공명의 양보음(梁父吟)을 공부할 것이라네. 

 

 

 

 

 

 

2. 주석

 

  • 客心:나그네의 마음
  • 锦江:탁금강(濯锦江). 청두의 민강(岷江) 지류를 지나며 흐른다. 
  • 来天地:천지와 함께 오다(与天地俱来) 
  • 玉垒浮云变古今:변화가 많은 정국과 어려움이 많은 인생을 말한다. 산에 떠 있는 구름처럼 헤아릴 수 없고 안정적이지 않은 것이, 예부터 지금까지 언제나 그래 왔다. 
  • 玉垒:옥루. 쓰촨의 서쪽, 청두의 서북쪽에 있는 산 이름.
  • 北极:북극성. 옛사람들은 조정을 북극성으로 나타내었다. 
  • 终不改:결국 변할 수 없다. (=终究不能改,终于没有改)
  • 西山:서산. 지금의 쓰촨 성(四川省) 서부, 토번(오랑캐)과의 경계지역에 있던 설산이다. 
  • 寇盗:침략하는 토번 집단을 가리킨다. (指入侵的吐蕃集团)
  • 后主:유비의 아들 유선(刘备的儿子刘禅). 삼국시대 촉나라의 후주(后主). 망국의 군주.
  • 还祠庙:시인조차 탄식이 나오는 상황에 유선(刘禅) 같은 사람은 사당에나 가있다. 유선이 환관들을 총애하여 나라를 망하게 한 것을 한탄하는 것을 적어, 당 대종(唐代宗)이 간신들을 등용해 화를 불러들이고 있음을 돌려서 나타낸 것이다. 
  • 还:아직도, 여전히(仍然)
  • 聊为:그렇게 하는 것이 마뜩지는 않지만, 잠시 그렇게 한다.(=不甘心这样做而姑且这样做)
  • 梁父吟:옛 악부 중의 한 가락으로, 제갈량이 《梁父吟》의 가사를 적었다고 전해진다.

 

 

 

 

 

3. 창작 배경

 

이 시는 서기 764년(당나라 대종 광덕 2년) 봄에, 두보가 청두에서 지은 것이다.

당시 시인 두보는 쓰촨에 거주한 지 5년이 지났을 때였다. 

 

나라 안팎으로 근심과 우환이 들어, 두보의 벗인 엄무(严武)가 청두 절도사로 임명되었고, 두보는 그 소식을 듣고 매우 기뻐하였다. 어느 늦은 봄날 시인 두보는 누각에 올라 멀리 바라보며 이 시를 지었다. 

 

 

 

 

[중국어 5회 듣기]

 

https://youtu.be/BBKNpD3IVNE

 

 

 

 

 

4. 두보(杜甫 ; 712-770)

[자 - 자미(子美) / 호 - 소릉(少陵)]

 

 

두보(杜甫 ; 712-770)

 

 

중국 당나라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렸으며, 그의 시는 시로 표현된 역사라는 뜻으로 시사(詩史)라 불린다. 

두보는 당대(唐代) 위대한 현실주의 시인으로 나라와 백성을 걱정하였다. 

그의 시는 약 1400여 수가 전해지며, 시예(诗艺)가 뛰어나 중국 고전시 중에서도 추앙을 받으며 그 영향력도 매우 깊다.

 

두보와 이백을 합해 "이두(李杜)"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료 : 바이두 백과, 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