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보(杜甫)의 시] 17. 月夜(월야) / 좋은 시 모음
月夜
(yuè yè / 월야 ; 달밤)
- 杜甫 〔두보〕 -
今夜鄜州月,闺中只独看。
jīn yè fū zhōu yuè ,guī zhōng zhī dú kàn。
오늘 밤 부주 땅에도 떴을 저 달을, 아내는 혼자서 바라보고 있으리.
遥怜小儿女,未解忆长安。
yáo lián xiǎo ér nǚ ,wèi jiě yì Cháng’ān。
가엾어라 어린 자식들, 그 어미 장안의 나를 그리는 줄 알지 못하겠지.
香雾云鬟湿,清辉玉臂寒。
xiāng wù yún huán shī ,qīng huī yù bì hán。
향긋한 밤안개는 아내의 머리카락을 적실 게고, 맑은 달빛은 아내의 흰 팔을 차갑게 하리라.
何时倚虚幌,双照泪痕干。
hé shí yǐ xū huǎng ,shuāng zhào lèi hén gàn。
어느 때에야 얇은 창가리개에 기대어, 우리 둘의 눈물 자국 마르는 걸 저 달은 비추려노.
1. 시문 해석
今夜里鄜州上空那轮圆月,只有你在闺房中独自遥看。
远在他方怜惜幼小的儿女,还不懂得你为何思念长安?
蒙蒙雾气沾湿了你的鬓发;清冷的月光使你的玉臂生寒。
什么时候才能在一起共同靠在透光的窗帘或帷幔旁,让月光擦干两人的思念的泪。
오늘 밤 푸저우(鄜州) 하늘에 저 둥근달을, 그대 홀로 안방에서 바라보고 있으리.
멀리 떨어져 있는 가엾은 자녀들, 그대가 왜 장안을 그리워하는지 알지 못하겠지요?
뿌연 안개가 그대의 머리카락을 적시고, 청량한 달빛이 그대의 하얀 팔을 춥게 하리라.
어느 때에야 함께 얇은 창 가리개 옆에서, 우리 둘의 그리운 눈물 달빛이 씻어주겠소.
2. 주석
- 鄜(fū)州:지금의 산시성 부현(陕西省富县)이다. 당시 두보의 가족은 부주(鄜州) 강촌에 있었고, 두보는 장안(长安)에 있었다.
- 闺中:안방(=内室)
- 怜:그리워하다(=想)
- 未解:아직 모르다.(=尚不懂得)
- 香雾云鬟(huán)湿,清辉玉臂寒:부인이 홀로 서서 달을 바라보며 그리워하는 모습을 상상하며 적은 문장.
- 香雾:안개 향기. 안개는 원래 향기가 없지만, 여인들이 머리에 바르는 머릿기름의 향기가 안개에 스며들어 퍼지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안개 향기라고 표현하였다.
- 云鬟:높이 묶은 고리 모양 상투머리(=指高耸的环形发髻)
- 清辉:밝을 달 빛 (阮籍诗《咏怀》其十四:“明月耀清晖。”)
- 虚幌:투명한 커튼(透明的窗帷。幌,帷幔)
- 双照:위에 적은 "独看(홀로 바라보다)"와 대조를 이룬다. 다시 만날 날을 그리워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 泪痕:눈물 자국
3. 창작 배경
천보 15년(서기 756년) 봄, 안녹산이 낙양에서 동관(潼关)을 공격했다.
6월, 장안은 함락되었고, 당 현종은 도망쳤다.
안사 반군들이 백수(白水)로 들어가자 두보는 가족을 거느리고 푸저우(鄜州) 강촌으로 도망쳤다.
7월, 당 숙종이 영무(灵武)에서 즉위했고, 두보는 그 소식을 듣자마자 푸저우를 떠나 영무로 향하지만 안사 반군에 잡혀 장안(长安)으로 압송된다.
8월, 장안에 갇힌 두보는 달을 바라보며 가족을 그리워하다가 이 시를 적는다.
[중국어 5회 듣기]
4. 두보(杜甫 ; 712-770)
[자 - 자미(子美) / 호 - 소릉(少陵)]
중국 당나라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렸으며, 그의 시는 시로 표현된 역사라는 뜻으로 시사(詩史)라 불린다.
두보는 당대(唐代) 위대한 현실주의 시인으로 나라와 백성을 걱정하였다.
그의 시는 약 1400여 수가 전해지며, 시예(诗艺)가 뛰어나 중국 고전시 중에서도 추앙을 받으며 그 영향력도 매우 깊다.
두보와 이백을 합해 "이두(李杜)"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료 : 바이두 백과, 외]
'중국문학 (원문&번역) > [시인] 두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보(杜甫)의 시] 19. 春日忆李白(춘일억이백) / 좋은 시 모음 (0) | 2022.04.18 |
---|---|
[두보(杜甫)의 시] 18. 登楼(등루) / 좋은 시 모음 (0) | 2022.04.18 |
[두보(杜甫)의 시] 16. 客至(객지) / 좋은 시 모음 (0) | 2022.04.18 |
[두보(杜甫)의 시] 15. 八阵图(팔진도) / 좋은 시 모음 (0) | 2022.04.18 |
[두보(杜甫)의 시] 14. 赠卫八处士(증위팔처사) / 좋은 시 모음 (0) | 2022.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