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문학 (원문&번역)/[시인] 두보

[두보(杜甫)의 시] 8. 月夜忆舍弟(월야억사제) / 좋은 시 모음

by mithras 2022. 4. 17.
반응형

 

 

 

 

 

 

 

 

 

[두보(杜甫)의 시] 8. 月夜忆舍弟(월야억사제) / 좋은 시 모음

 

 

 

[두보(杜甫)의 시] 8. 月夜忆舍弟(월야억사제) / 좋은 시 모음

 

 

 

月夜忆舍弟

(월야억사제 ; 달밤에 아우를 그리워하며)
杜甫 〔두보〕

 

 



戍鼓断人行,边秋一雁声。

shù gǔ duàn rén xíng ,biān qiū yī yàn shēng 。

수루의 북소리(전쟁)로 다니는 사람들은 끊기고, 변방의 가을에는 기러기만 우는구나.


露从今夜白,月是故乡明。

lù cóng jīn yè bái ,yuè shì gù xiāng míng 。

오늘 밤부터 (백로 절기라) 이슬이 하얗고, 달은 고향의 것이 더 밝으리라.


有弟皆分散,无家问死生。

yǒu dì jiē fèn sàn ,wú jiā wèn sǐ shēng 。

아우가 있으나 모두 흩어졌고, 가족의 생사조차 알 수 없네.


寄书长不达,况乃未休兵。

jì shū cháng bù dá ,kuàng nǎi wèi xiū bīng 。

서신을 보내도 도달하지 못하고, 전쟁은 여전히 멈추지 않는구나.

 

 

 

 

 

 

1. 시문 해석

 

戍楼上的更鼓声断绝了人行,秋夜的边塞传来了孤雁哀鸣。
从今夜就进入了白露节气,月亮还是故乡的最明亮。
虽有兄弟但都离散各去一方,已经无法打听到他们的消息。
寄往洛阳城的家书老是不能送到,何况战乱频繁还没有停止。

 

누각 위의 큰 북소리에 사람들의 발길은 끊기고, 가을 저녁의 변방에서는 외로운 기러기 울음소리가 들려온다. 

오늘 밤부터 백로 계절이 시작되니, 달빛은 그래도 고향의 것이 가장 밝으리라.

형제가 있으나 각 지방으로 흩어졌고, 이미 소식조차 들을 수 없다. 

낙양성으로 서신을 보내보지만 언제나 도착하지 못하고, 전쟁은 여전히 빈번하고 끊이지 않는구나. 

 

 

 

 

2. 주석

 

  • 舍弟:자신의 동생을 겸손하게 부르는 말(=谦称自己的弟弟)
  • 戍鼓:국경에 설치된 망루(=수루) 위의 큰 북. 
  • 断人行:사람의 발길이 끊어지다. 북소리가 난 후에는 곧 통행금지가 시작되는 것을 표현함.
  • 边秋:가을의 변경(국경 지대), 변방의 가을날(=边塞的秋天)
  • 露从今夜白:백로(白露 ; 24절기 중 열다섯 번째 절기,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 때의 한 늦은 저녁날을 가리킨다.
  • 长:계속해서, 언제나(=一直,老是)
  • 达:도달하다(=到)
  • 况乃:하물며(=何况是)
  • 未休兵:전쟁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战争还没有结束)

 

 

 

 

3. 창작 배경

 

이 시는 당나라 숙종 건원 2년(759년) 가을에 두보가 진주(秦州)에서 지은 것이다.

 

당 현종 천보 14년(755년), 안사의 난이 일어났고, 건원 2년 9월에 반군 안녹산(安禄山)과 사사명(史思明)이 범양(范阳)에서 군사를 일으켜 남하하여 변주(汴州)를 함락시키고 낙양의 서쪽으로 들어와 산동, 허난 지역이 모두 전쟁에 휩싸였다. 

 

당시 두보의 몇몇 동생들은 그 일대로 뿔뿔이 흩어져 있었는데, 전쟁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소식을 들을 수 없어 두보는 근심과 그리움에 빠져 있었다.

 

이 시는 당시 두보의 진실한 생각과 감정의 기록이다.  

 

 

 

[중국어 5회 듣기]

 

 

 

 

 

 

4. 두보(杜甫 ; 712-770)

[자 - 자미(子美) / 호 - 소릉(少陵)]

 

 

두보(杜甫 ; 712-770)

 

 

중국 당나라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렸으며, 그의 시는 시로 표현된 역사라는 뜻으로 시사(詩史)라 불린다. 

두보는 당대(唐代) 위대한 현실주의 시인으로 나라와 백성을 걱정하였다. 

그의 시는 약 1400여 수가 전해지며, 시예(诗艺)가 뛰어나 중국 고전시 중에서도 추앙을 받으며 그 영향력도 매우 깊다.

 

두보와 이백을 합해 "이두(李杜)"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료 : 바이두 백과 외]

 

 

 

 

 

 

 

 

 

 

 

 

 

 

 

 

 

반응형

댓글